[요약집]인터넷편

Updated:

[요약집]인터넷편

인터넷(Internet)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한 세계규모의 네트워크이다. 인터넷에서는 각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는 라우터가 양동이 릴레이처럼 패킷을 중계함으로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ISP(Internet Services Provider)

인터넷에 대한 연결을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이다.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LAN에 외부에서 참가할 수 있도록 해준다.

KRNIC(KoRea Network Information Center)

인터넷 주소자원을 관리하는 한국의 기관이다. 글로벌 IP 주소를 관리하며 ISP 에게 할당량을 주면 그 할당량의 범위안에서 각 사용자에게 다시 할당을 하는 구조이다.

WWW(World Wide Web)

인터넷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문서 시스템이다. 하나의 문서 안에 그림이나 음성 등 다양한 콘텐츠를 끼워 넣을 수가 있으며, 문서 간에 링크를 설정함으로서 문서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모습이 거미줄을 연상케 한다는 점에서 World Wide Web 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웹 사이트

WWW상에서 데이터나 파일이 하나로 모여있는 장소를 가리킨다.

웹 브라우저

웹 사이트를 열람하기 위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다. 인터넷의 웹 서버에 대해 열람하고 싶은 HTML 등의 파일을 요청하면 문서의 모양을 만들어 볼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준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에서 파일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기술 형식 또는 그에 따라 기술된 주소 자체를 말한다.

  • [http://www.domainName.kr/book/abc.html] 의 경우 http 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kr(한국)의 domainName의 www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book 폴더안의 abc.html을 가리킨다.

전자 메일(e-mail)

편지를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상대방의 전자메일 주소에다가 전자메일을 보내면 상대방의 메일 서버에 보관이 되고 상대방이 수신을 확인할 때 전달이 된다.

  • ex) [ronick@github.kr]에 메일을 보내면 github.kr 의 메일 서버가 ronick 의 메일박스에 보관을 한다. ronick(수신자)가 메일을 확인하면 그때서야 전달이 된다.

뉴스그룹(NewsGroup)

인터넷에서의 전자회의실 시스템을 말한다. 이용자들이 만들어가는 정보교환용 시스템이다. 인접한 뉴스 서버끼리 게시 내용을 서로 배포함으로서 세계 각지의 어떤 뉴스 서버든 참조할 수 있다.

인스턴스 메시지(IM: Instance Message)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가 메시지를 직접 주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짧은 메시지를 보내서 실시간으로 대화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WWW 서비스에서 웹 서버와 WWW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간에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URL을 비롯한 요청 정보를 보내고 서버는 그 정보를 받아서 데이터를 일절 변환하지 않고 클라이언트에 반환한다.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는 이 데이터를 처리하여 볼수 있는 형태로 만든다.

  • HTTP를 사용한 파일 전송은 요청에 대해 응답을 하는 한 번의 주고받기로 연결이 종료되어 버린다. 반면 HTTP 1.1은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한번의 처리로 끝내지 않고 연결된 상태로 여러 요청을 계속한다.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인터넷 메일의 송신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로서 SMTP를 지원하는 서버를 SMTP 서버라고 한다. SMTP 를 이용하여 메일을 송신하면 송신자의 SMTP 서버로 보내지고, 거기서 다시 수신자의 SMTP 서버로 보내져 수신자의 메일박스에 저장이 된다. 이럼으로 인해 수신자는 인터넷에 연결 되어있지 않아도 추후에 메일을 열어볼 수 있다. 우체국에 비유하면 우체통까지 전달되는 것이다.

POP(Post Office Protocol)

인터넷 메일의 수신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로서 POP를 지원하는 서버를 POP 서버라고 한다. SMTP로 메일 박스에 전달된 메일을 다운로드 하는 일을 담당한다. 우체국에 비유하면 우체통에서 메일을 꺼내는 것이다.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인터넷 메일의 수신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로서 메일을 서버로부터 취득한다. 또 다른 인터넷 메일 수신 프로토콜인 POP가 있지만 방식이 다르다. POP는 메일을 수신하는 즉시 다운로드하여 데이터를 서버에 남기지 않아서 다수의 컴퓨터가 메일을 공유하기가 힘들다. 반면, IMAP은 수신한 전자메일을 서버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동일한 데이터를 참조할 수가 있다.

NNTP(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

인터넷 전자회의실 시스템인 뉴스그룹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기사의 배포나 투고 접수, 뉴스 서버 간의 기사 교환에 사용된다.

FTP(File Transfer Protocol)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파일의 다운로드 및 업로드 외에 파일의 접근 권한이나 디렉토리 작성등 다양한 조작을 할 수가 있다. FTP 에는 두 가지의 전송 모드가 있다.

  • ASCII 모드: 텍스트 파일의 전송에 사용하는 모드로 줄바꿈에 대한 코드를 각 운영체제에 맞는 형태로 변환한다.
  • 바이너리 모드: 텍스트 파일 이외의 파일을 전송하는 모드로 프로토콜의 실행파일이나 이미지 파일등 변환하면 내용이 바뀌게 되어 곤란한 데이터는 일절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전송한다.

SSL(Secure Sockets Layer)

인터넷에서 정보를 안전하게 주고받기 위한 암호화 프로토콜로서 서로의 인증과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서 안전한 통신을 실현한다.

  • SSL을 사용한 통신과정: verisign사가 발행한 증명서를 가지고 있는 서버인지 확인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암호화 형식 지정 -> 암호화 통신 시작

SET(Secure Electronic Transaction)

인터넷에서 신용카드를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책정된 표준 규격을 말한다. 인증기관이 고객, 전자상점, 금융기관에 서로 본인임을 증명하는 증명서를 발급해주고 이를 통해 거래를 진행한다. 고객과 금융기관 사이에 오가는 정보는 암호화되어 있으므로 전자상점 측에서는 이 정보가 공개되지 않는다.

  • 거래 과정: 고객이 전자상점을 통해 물건 구매 요청을 하고 고객정보를 보내면 전자상점은 이를 볼수가 없기에 금융기관에게 확인을 요청하고 확인이 되면 그때서야 거래가 성사된다.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SL)

WWW 서비스에서 서버와 정보를 주고받는데 사용하는 HTTP에 SSL을 사용한 암호화 통신을 추가한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정보를 송신함으로서 온라인 결제 사이트등에서 신용카드 번호나 회원 등록 등에서 입력하는 개인 정보의 누출을 막을 수가 있다.

NTP(Network Time Protocol)

인터넷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시각 정보 프로토콜로서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의 시간을 동기화 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NTP 서버는 15 개의 계층까지 계층화 시킬 수가 있으며, 가장 정밀도가 높은 ‘Stratum 1’ NTP 서버를 시작으로 ‘Stratum 2’, ‘Stratum 3’으로 계층화시킬 수 있다.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본래 ASCII 문자밖에 취급할 수 없는 인터넷 메일에서 한국어와 같은 2바이트 문자나 일부 이미지 등의 파일을 첨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규격이다. ASCII 문자로 변환만 하면 이 문자들이 어떤 형태인지 알수가 없으므로 이를 형태별로 나누어 content-type에 text, img, audio 등으로 구분하고 나눈다. 수신측은 이를 토대로 ASCII 문자를 형태별로 복원한다.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TCP/IP의 패킷 전송에서 발생한 각종 오류정보를 보고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통신 오류 발생시 오류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ICMP을 사용한 오류정보가 반송되어 온다. 대표적으로 2가지의 검사 명령이 있다.

  • ping: 지정 컴퓨터까지 패킷이 도착하는지를 시험함으로서 네트워크의 소통을 확인할 수 있다.
  • traceroute: 지정 컴퓨터까지 어떤 경로(라우터 등)을 거치고 있는지 조사할 수 있다.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WWW 문서를 기술하는 언어로서 문서 안에 링크를 설정함으로서 문서 끼리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텍스트를 하이퍼텍스트라고 한다.

DHTML(Dynamic HTML)

페이지의 내용을 동적으로 바꿀 수 있는 HTML의 확장사양을 말한다.

JavaScript

스크립트 언어의 일종으로,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에 내장되어 있다. HTML 파일 안에 프로그램을 기술함으로서 웹 사이트에 동적인 효과를 줄 수가 있다.

CSS(Cascading Style Sheets)

HTML로 기술된 문서의 레이아웃과 같은 모양을 정의하기 위한 언어이다. 기존에 HTML에서 했던 모양지정을 대체함으로서 HTML은 ‘문서의 논리 구조 기술’, CSS 는 ‘문서의 모양 정의’ 으로 역할이 분리가 되었다.

Java(자바)

오브젝트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자바로 만들어지는 프로그램은 다양한 인터넷 브라우저와 운영체제를 불문하고 자바 가상 머신(JVM) 이 있는 환경이라면 플랫폼을 가리지 않고 작동이 된다. Java로 작성하는 프로그램은 크게 두가지가 있다.

  • Java 애플리케이션: 보통의 소프트웨어와 마찬가지로 단독으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컴퓨터의 Java 가상 머신 상에서 보통의 어플리케이션처럼 작동한다.
  • Java 애플릿: 웹 서버에 본체가 있으며 실행 시 클라이언트에 다운로드되어 웹 브라우저의 자바 가상 머신에서 실행된다. 웹 브라우저의 Java 가상 머신 상에서 페이지 안의 한 콘텐츠로서 작동한다.

ActiveX(액티브 엑스)

Microsoft 사가 갖고 있는 인터넷 관련 테크놀로지 전반을 가리킨다. 인터넷과 Windows를 경계선 없이 연결하기 위한 핵심 기술을 총칭하는 말이다. 브라우저에 엑셀이나 워드 문서를 볼 수 있는 것을 예로 들 수있다. 국내에서는 이 액티브 엑스의 과도한 설치 요구로 인해 나를 포함하여 수많은 사람들에게 악명이 높다.

CGI(Common Gateway Interface)

웹 브라우저의 요청에 대해 웹 서버가 외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프로그램의 실행이 서버 측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나 파일과 같은 서버 측 리소스와 연계시킬 수 있고 그러한 데이터를 활용한 방문자 수나 게시판 등이 대표적이다.

Cookie(쿠키)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에서 압묵적인 정보 교환을 하기 위한 장치이다. Cookie를 사용함으로서 클라이언트에 도메인명, 이름 등 고유한 정보를 기억시켜 웹 사이트를 개인화할 수가 있다. 웹 서버의 지시를 받아 클라이언트에 자동으로 저장되는 데이터 파일로도 불린다.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HTML과 마찬가지로 태그를 사용하여 문서 정보를 표현하는 언어이다. HTML과 달리 태그를 독자적으로 정의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속성을 자세하게 표현할 수 있다. 데이터 자체를 구조화하여 표현하는데 적합하며 데이터베이스에 가까운 구조이다.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인터넷에 분산된 여러 오브젝트 또는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SOAP 명령을 기술한 XML 문서를 송부함으로서 처리결과가 XML 문서로 되돌아 온다. XML 기반 데이터를 교환하므로 프로그램 언어나 OS 환경에 의존하지 않고 범용성이 높아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하위 프로토콜로서 WWW을 이용하기 위해 통과를 허가하고 있는 프로토콜인 HTTP를 사용함으로서 방화벽에 구애받지 않고 통신이 가능하다.

RSS(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Site Summary)

웹 사이트의 제목이나 요약을 배포하기 위한 포멧. 주로 갱신정보를 공개하기 위해 사용된다. RSS 정보를 취득하여 그 갱신 정보를 참조 할때는 RSS 리더라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한다. 그 형태는 웹 브라우저에 내장되어 있거나 OS 데스크톱에 상주 하는 등 여러 가지가 있다.

Dynamic DNS

자신이 갖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변경이 있을 때 바로 통지나 변경 부분을 전송해 주는 기능을 갖고 있는 DNS를 말한다. ADSL과 같이 연결할 때마다 IP 주소가 바뀌는 환경에서도 고정 도메인명을 사용하여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다.

컴퓨터 바이러스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 들어가 부정한 처리를 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저장소의 내용을 전부 삭제한다 던가 정보를 몰래 훔쳐내는 등 형태는 다양하다.

포털 사이트

웹 브라우저를 켰을 때 많은 사람이 처음 볼 것 같은 웹 사이트이다.

검색 사이트

인터넷에 산재해 있는 정보를 키워드 등으로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를 말한다. 검색 사이트는 크게 2 종류가 있다.

  • 디렉토리형: 카테고리화된 정보로부터 희망에 맞는 웹 사이트를 발견할 수 있지만, 등록에 사람의 손이 개입하기 때문에 정보량에는 한계가 있다.
  • 전문 검색형: 로봇이라는 자동 순회형 프로그램이 긁어모은 폭넓은 정보 중에서 키워드 검색을 할 수 있지만, 검색 결과로부터 필요한 정보만 얻기는 어렵다.

클라우드

인터넷을 구름(cloud)로 비유하여 표현한 것으로, 네트워크 저편을 의식하지 않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약자이다.

Categories:

Updated:

Leave a comment